반응형
연말정산 결과를 보고 “올해는 -189만 원, 작년은 +134만 원… 대체 이게 좋은 거야? 나쁜 거야?” 하는 의문, 한 번쯤 가져보셨을 거예요.
결론부터 말씀드리면,
-마이너스는 환급받는 금액
+플러스는 추가로 납부할 세금을 의미합니다.
이번 글에서는 질문자님처럼 연도별로 정반대 결과가 나온 이유, 해당 수치가 어떤 기준으로 계산되는지, 그리고 세금 줄이는 팁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.
먼저 요약: 마이너스 vs 플러스 연말정산 금액
2025년 | -1,896,610원 | 세금을 많이 냈다가 돌려받는 것 → 환급 예정 |
2024년 | +1,343,210원 | 낸 세금이 부족해서 추가 납부한 금액 |
정리하면:
- 마이너스(-): 돌려받는 금액
- 플러스(+): 더 내야 했던 금액
왜 이렇게 차이가 나나요?
연말정산 결과는 다음의 3가지에 따라 달라집니다:
1. 연봉
- 총 급여가 많아질수록 기본 세율 적용 구간이 상승
- 세율은 6%~45%까지 누진적으로 올라감
2. 원천징수된 세액
- 회사에서 매월 급여에서 떼어간 세금
- 이게 실제로 내야 할 세금보다 많으면 환급
반대면 추가 납부
3. 공제 항목
- 신용카드 사용액, 의료비, 교육비, 기부금 등
- 공제를 많이 받았을수록 실제 내야 할 세금이 줄어듦
예시로 보면 더 쉽게 이해돼요
총급여 | 3,500만 원 | 3,600만 원 |
신용카드 사용액 | 300만 원 | 1,200만 원 |
의료비 | 없음 | 150만 원 |
기부금 | 없음 | 100만 원 |
월세공제 | 미신청 | 신청 |
결과 | +134만 원 납부 | -189만 원 환급 |
→ 2025년에 공제를 훨씬 더 많이 받아서 세금 줄어든 것
그럼 나는 세금 얼마나 돌려받은 걸까?
실제 환급액은 '마이너스 금액'과 거의 동일하거나 조금 적은 금액입니다.
단, ‘소득세 외 금액’에 지방소득세가 포함되므로, 실제 입금액은 약 90~95% 수준일 수 있습니다.
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-189만 원이면 그만큼 돌려받는 건가요?
→ 네, 거의 그 수준입니다. 보통 지방소득세 10% 제외하고 입금됩니다.
Q2. 작년에 +134만 원을 냈는데, 이건 손해인가요?
→ 미리 낸 세금보다 덜 냈기 때문에 정산 과정에서 더 낸 것입니다.
공제 부족 or 카드 사용 적음 등이 원인일 수 있어요.
Q3. 환급금은 언제 입금되나요?
→ 연말정산 자료 제출 후, 회사 급여일과 함께 or 별도 지정일에 입금됩니다.
결론
-1,896,610원 (2025년) | 환급받을 금액 |
+1,343,210원 (2024년) | 추가로 낸 세금 |
환급 여부는 ‘소득세 외 금액’이 마이너스인지 플러스인지로 확인하시면 됩니다.
반응형
'투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견적서·세금계산서·거래명세서 날짜, 일치 안 해도 괜찮을까? 날짜별 의미 정확히 정리해드립니다 (0) | 2025.04.27 |
---|---|
자녀 결혼자금, 아버지 돈을 어머니 계좌에서 줬다면? 증여세 신고 이렇게 하세요! (0) | 2025.04.27 |
재직 1주일 차인데 햇살론 안 될까? 신용점수 670점, 대출 가능성 없을까? (0) | 2025.04.27 |
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: 퇴사 후 발급 방법과 대처법 (0) | 2024.11.29 |
2천만 원 여윳돈, 어디에 투자할까? 효율적인 자산 포트폴리오 전략 (0) | 2024.11.27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