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요즘 중고거래를 하다 보면 “전북은행? 잘 못 들어본 은행인데… 외국인만 쓰는 거 아냐?”
“사기 아닐까?” 하는 걱정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.
특히 고등학생이나 대학생처럼 금융 경험이 적은 분들에겐 더 혼란스럽죠.
이번 글에서는 전북은행의 정체와 특징, 외국인 전용 은행인지 여부, 그리고 사기 예방을 위한 중고거래 체크리스트까지
정리해드립니다.
전북은행, 외국인 전용 은행일까?
정답: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.
전북은행(JB은행)은
- 전라북도 전주시에 본점을 두고
- 1969년부터 운영 중인 지방은행이며
- JB금융그룹 소속으로 한국인, 외국인 누구나 이용 가능한 시중은행입니다.
외국인 근로자가 많이 이용하는 이유는
공단 지역 등 외국인 밀집 지역에 지점이 많기 때문이지, 외국인 전용 은행은 아닙니다.
전북은행을 쓴다고 사기일까?
은행 계좌만으로는 사기 여부를 판단할 수 없습니다.
전북은행 계좌 사용 ≠ 사기
하지만, 다음 조건이 함께 보이면 의심이 필요합니다:
SNS 중고거래 or 택배 거래만 고집 |
상대방 이름·연락처 등 밝히기 꺼림 |
계좌 조회 시 사기 이력 있음 (더치트) |
지나치게 시세보다 싸게 판매 |
운송장번호 안 주고 계속 미루는 경우 |
사기인지 확인하려면? 이 방법 쓰세요!
1. 🔎 더치트 (thecheat.co.kr)
→ 전화번호, 계좌번호, 이름 입력해 사기 피해 신고 이력 확인
2. 사이버캅 앱 (경찰청)
→ 경찰청 운영 공식 앱
→ 사기 계좌, 범죄 이력 확인 가능
3. 안전결제(에스크로) 사용
→ 당근마켓 ‘안전결제’, 번개장터 ‘번개페이’ 등
→ 입금 후 실제 물건 도착 시 판매자에게 돈 전달됨
거래 전 이런 점도 꼭 확인하세요
상대방 이름, 연락처 확보 | 문제 생길 시 경찰 신고 시 필요 |
택배 운송장 미리 요청 | 송장번호 없는 거래 = 사기 가능성↑ |
신분증 사진 요구? No! | 개인정보 도용 위험, 절대 제공하지 마세요 |
시세보다 너무 싸면 의심 | ‘급처’라며 속이는 경우 많음 |
결론
전북은행은 외국인 전용 은행인가요? | 아닙니다. 일반 국민 누구나 이용 가능 |
전북은행 계좌라고 사기일까요? | 아닙니다. 단독 근거로 의심 불가 |
사기인지 확인하려면? | 더치트, 사이버캅 앱 필수 조회 |
가장 안전한 방법은? | 직거래 or 에스크로 안전결제 사용 |
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지방은행이라 생소한데 괜찮은 건가요?
→ 네, 전북은행은 JB금융그룹 소속의 정식 은행입니다. 국민·신한은행 등과 동일한 은행법 적용.
Q2. 상대방이 연락처 주기 꺼리는데 괜찮을까요?
→ 아니요. 이름, 연락처, 입금 계좌 이름이 일치하지 않으면 주의가 필요합니다.
Q3. 이미 송금했는데 상대방이 잠수 타요.
→ 즉시 경찰서 방문 or 사이버범죄 신고센터(www.police.go.kr) 이용해 신고하세요.
반응형
'투자 > 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연말정산 월세 세액공제, 왜 금액이 조회되지 않을까? 간소화에서 안 보이는 이유와 해결 방법 (0) | 2025.04.27 |
---|---|
하나 청년도약계좌 약관 변경 안내: 주요 내용과 활용 팁 (0) | 2024.12.27 |
지역건강보험료 상승의 원인: 금융소득과 연금배당의 영향 (0) | 2024.11.29 |
10월 개업 후 12월 소득 발생, 부가가치세 신고는 언제 해야 할까? (0) | 2024.11.28 |
청년 버팀목 전세대출, HUG와 HF로 동시에 심사받을 수 있을까? (0) | 2024.11.27 |
댓글